본문 바로가기
사월의 일상- 문해력

독해력(문해력) 국어 공부법

by 사월의 일상 2024. 3. 15.
반응형

글을 읽어도 풀기 어려운 국어문제

국어는 모국어입니다. 그래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에 실패하는 사람은 없지만. 많은 학생들이 국어 공부는 생각보다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모국 어니까 라는 생각에 처음엔 쉽게 생각하지만, 막상 문제를 풀기 위해 글을 읽으면 풀 수 없는 문제라는 것을 마주하게 됩니다. 여기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은 모국어이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으니 미뤄두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는 것입니다. 국어는 많은 사람이 위와 같은 이유로 일단 하지 않고 미뤄두는 과목이 돼버렸습니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국어 공부법입니다. 요즘은 많은 학부모님들이 국어의 중요성을 아시고 어릴 때부터 국어, 논술, 토론 학원들을 보내고 있는데요. 하지만 많은 학원들의 교육이 잘못된 공부 방법을 알려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릴 때부터 미리 연습해야

어릴 때부터 책을 많이 읽은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독해력이 쌓여있습니다. 이 독해력으로 중학교 때까지는 별문제 없이 공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등학교 때부터는 얘기가 달라지는데요. 이는 중학교 때까지는 독해력 하나로, 독서 하나로 어떻게든 할 수 있지만, 고등학교부터는 어렵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중학교 때 글을 읽고 문제를 푸는 방법을 익히고 연습해야 합니다. 정확히 알고 가야 하는 부분은 내신 국어와 수능 국어와는 완전히 다르다는 것입니다. 내신에서 보는 국어는 간단하게 범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성실하게 얼마나 암기했느냐가 핵심이죠 반면 수능국어는 지문이 길어지고 전부 교과서 외의 지문들 안에서 출제되니 짧은 글 안에 낯선 글을 얼마만큼 정확하게 읽어내느냐가 핵심입니다.

 

국어의 흐름

국어는 앞서 말했듯 읽는 법이 굉장히 중요한데요. 보통 국어 공부를 한다고 하면 개념 공부를 하거나 심화된 기능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이 부분도 중요한 부분이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본적인 글을 읽는 법을 알아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읽을 수 있을까요? 어떤 흐름으로 가야 국어를 잘 풀 수 있을까요?

 

모든 글은 의미 없이 쓰이지 않았습니다. 뭔가 주장하거나 설명하는 글을 씁니다. 따라서 글쓴이의 의도 파악이 가장 중요합니다. 글의 종류에 따른 글쓴이의 의도와 파악, 주제를 알아야 합니다. 글을 읽을 때 글쓴이의 의도에 점검하며 읽는 것도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글쓴이의 의도는 글의 주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주제를 파악하는 과정을 거처야 글쓴이의 의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문장 구조에 대해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독해 원리뿐만 아니라 문장 구조, 지문 구조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야 문제를 빨리 풀 수 있습니다.

 

극명하게 갈리는 국어 공부

국어 공부는 어떤 주제를 좋아하냐에 따라 극명하게 갈리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경제를 좋아한다면 경제 지문이 재미있을 것이고 과학을 좋아한다면 과학지문을 좋아할 것입니다. 누구나 내가 좋아하는 지문은 쉽지만 내가 싫어하는 지문은 힘겨워하고, 어려워합니다. 따라서 처음부터 꾸역꾸역 관심 없는 분야의 글을 읽기보다는 관심 분야 지문, 내가 좋아하는 주제나 쉽게 풀이할 수 있는 유형부터 시작해 점차 늘려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렇게 늘려가다 보면 독해력은 많이 향상됩니다.

 

왜 국어공부를 해야하는지 설득이 되는가?

어떤 공부던 몰아서 할 일은 아닙니다. 따라서 충분한 시간이 있을 때 꾸준히 노출되고, 신경 쓰고, 경험하는 훈련이 되면 훨씬 수월하고 근본적인 공부를 하고 고학년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공부를 하기 전에 왜 국어공부를 미리 이렇게 준비해야 하는지 설명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생도 본인이 왜 국어공부를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면 학습효과는 당연히 나올 수 없기 때문입니다.

 

국어는 질문 안에 답이 있습니다. 이것을 꼭 생각하고 문제를 풀면 됩니다. 국어는 배경 지식을 가지고 풀 필요 없이 주어진 지문 안에 답이 다 있으므로 읽는 방법을 터득하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